Daniel Schine LeeAmadeus Chair People's favorite books have passages that make them love the book. The same goes for music, movies, and exhibitions. Currently, at ARKO Art Center (@arko_art_center), located past Marronnier Park, near Hyehwa Station Exit 2, an exhibition titled 'MemoryᆞSpace' is taking place. It reinterprets the memories surrounding the art center through the eyes of contemporary artists, summoning them back into the art center, connecting and revitalizing its space. The artwork that particularly captivates me in this exhibition is the 'Amadeus Chair' (2023) by artist Daniel Schine Lee(@daniel.schine.lee). 사람들이 좋아하는 책에는 그 책을 좋아하게 만드는 구절이 있다. 음악, 영화, 그리고 전시도 마찬가지다.혜화역 2번 출구, 마로니에 공원을 지나 위치한 아르코 미술관(@arko_art_center)에서는 현재 미술관을 둘러싼 기억들을 동시대 작가들의 눈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다시 미술관으로 소환함으로써 미술관의 공간을 연결하고 활성화하는 전시 'MemoryᆞSpace《기억ᆞ공간》'이 진행되고 있다.필자에게 이번 전시를 좋아하게 만들어 주는 작품은 바로 작가 이현종(@daniel.schine.lee)의 아마데우스 의자(Amadeus Chair, 2023)이다. Daniel Schine Lee focuses on the language and communication methods of the post-internet era, subcultures, and critically highlights the contradictory relationships and dualities formed within them through sound installations, videos, and performances. He graduated with a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in Fine Arts from Chelsea College of Arts and the Royal College of Art in the UK, and currently engages in diverse activities as an artist, independent curator, DJ, and designer.His sound installation feels like conducting a symphony of the entire group exhibition, as it traverses inside and outside the art center. His sound seamlessly blends with the city's noise while constantly sending messages to people resting in Marronnier Park in front of the art center. 이현종(Daniel Schine Lee)은 포스트 인터넷 시대의 언어와 소통방식, 하위문화에 주목하고 이 안에서 형성되는 모순적인 관계와 양면성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사운드 설치, 영상, 퍼포먼스 작업을 해오고 있는 아티스트다. 영국 첼시 예술대학과 왕립 예술학교에서 순수예술 학사와 석사를 졸업하고, 현재는 미술작가, 독립기획자, DJ, 디자이너 등 다채로운 활동을 펼치고 있다.그가 설치한 사운드는 마치 미술관의 안팎을 넘나들며 본 그룹 전시를 지휘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그의 사운드는 도시의 소음과 어우러지면서 미술관 앞 마로니에 공원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에게 끊임없이 메시지를 던진다. Before entering the exhibition hall, I enjoyed listening to the sound track 'Montmartre à Séoul*' while viewing the artwork 'Amadeus Chair' installed outside the art center. Daniel Schine Lee personally recorded sound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the art center for this exhibition and sampled the sound of reading excerpts from provocative articles about Marronnier Park, which served as a backdrop for the resistant street culture of the 1990s.His sound can be experienced in four locations: outside the art center, at the entrance, in the restroom, and on the way to the archive room. The sound track called 'Bathroom Quotes*' installed in the restroom tells the stories of past memories at ARKO Art Center and its surroundings, using selected parts of the previously mentioned provocative articles about Marronnier Park, as if offering advice to visitors. 나는 본 전시관에 들어가기 전, 먼저 미술관 외부에 설치된 작품 '아마데우스 의자'를 보며 사운드 트랙 '서울 속 몽마르트*'를 감상했다. 그는 이번 전시를 위해 직접 미술관 내부와 야외에서 녹음한 일상의 소리와 1990년대 저항적 거리문화의 배경이 되었던 마로니에 공원에 관한 선정적 기사 일부를 발췌해 읽은 소리를 샘플링했다고 한다.그의 사운드는 미술관 외부, 미술관 입구, 화장실, 제2전시실에서 아카이브실로 가는 길까지 총 4곳에서 감상할 수 있다. 화장실에 설치된 '화장실 명언*'이라는 사운드 트랙은 앞서 말한 마로니에 공원에 관한 선정적 기사의 일부를 매개로 하여, 화장실에 온 관람객들에게 마치 조언하듯 아르코 미술관과 그 주변에서 일어났던 지난 기억들을 이야기한다.*그의 작품 속 음악들은 아래 SoundCloud 링크에서 감상할 수 있다. dRUMMACHINE · Amadeus Chair EP I recommend experiencing 'Amadeus Chair' before exploring the entire exhibition and revisiting it afterward, as if summarizing the exhibition after completing the full tour. While enjoying the reinterpretation of ARKO Art Center by other artists along with 'Seoul within Montmartre,' you might remember this exhibition every time you pass by this place. The current moment of sitting peacefully in Marronnier Park and gazing at the exterior of ARKO Art Center, designed by architect Kim Swoo Geun, also becomes part of this exhibition. Our living spaces and the everyday scenes, as time passes, become memories and transform into history, showcased in this way.The exhibition runs until Sunday, July 23rd, at ARKO Art Center (3 Dongsoong-gil, Jongno-gu, Seoul). It is regrettable that I'm introducing this wonderful exhibition late. If you have the time, I highly recommend visiting and experiencing the past and present of ARKO Art Center with immersive soundtracks. '아마데우스 의자'는 전시회를 관람하기 전에 먼저 관람하고, 전체 관람을 마친 후 전시회를 갈무리하는 기분으로 다시 한번 관람하는 것을 추천한다. '서울 속 몽마르트'와 함께 미술관을 둘러보면서 다른 작가들이 재해석한 아르코 미술관의 모습을 감상한다면 앞으로 이곳을 지날 때마다 이번 전시가 기억나지 않을까. 마로니에 공원에 한가로이 앉아 김수근 건축가가 설계한 아르코 미술관의 외형을 바라보는 지금 이 순간의 모습도 본 전시의 일부가 된다.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과 일상의 모습도 시간이 지나면 누군가에게는 기억이 되고 역사가 되어 이렇게 전시될 것이다.전시는 오는 7월 23일 일요일까지 아르코 미술관(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3)에서 진행된다. 이처럼 좋은 전시를 늦게 소개하게 되어 아쉬움이 많다. 시간이 된다면 전시에 꼭 방문하여 아르코 미술관의 과거와 현재를 감각적인 사운드 트랙과 함께 감상해보길 바란다. 글, 사진 / chulhoon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