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untaek YooOne, but all 성북구립미술관(@seongbukmuseumofart)은 2003년부터 20여 년간 성북동에 거주하며 성북을 작품의 배경이자 삶의 터전으로 삼아 온 한국 현대미술의 대표 작가 유근택(@yoogeuntaek)의 기획전시 《오직 한 사람》을 개최중이다. 이번 전시는 동양화와 목판의 관계성에 주목하여 유근택의 목판 작업과 그 세계를 조명하는 첫 번째 전시로, 작가의 수십 년간 작업해 온 주요 목판 작품들을 시기별로 선별하여 구성되어있다. Seongbuk Museum of Art(@seongbukmuseumofart) is hosting an exhibition called "ONE, BUT ALL" by Geuntaek Yoo(@yoogeuntaek). Geuntaek Yoo has lived in Seongbuk-dong for over 20 years and uses it as the setting for his art. This exhibition is the first to focus on the connection between traditional Korean painting and woodblock prints, showcasing Yoo's woodblock works. It features a selection of his major pieces, organized by the period they were created in, highlighting his long career in art. 전시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3층 1전시실 [당신의 계절: 땅 위에 서서]에서는 계절의 변화에 따른 성북동 일대 풍경을 그린 대형 신작과 미공개 회화들이 자리한다. 작가는 20여년 간 성북동에 거주하며 성곽에서, 성북천을 걸으며, 창 밖에서 시시각각 변하는 장면을 담았다고 한다. The exhibition is on two floors. On the third floor in Exhibition Room 1, titled "Your Season: Standing on the Ground," you'll find large new paintings and previously unseen works showing the Seongbuk-dong landscape through different seasons. The artist, who has lived in Seongbuk-dong for over 20 years, captured these scenes from walks along Seongbukcheon, views from the fortress, and through his window, showing the changing scenery. 눈-내가 온 길, 2020, 한지에 수묵채색, 204 x 295cmSnow-The way I came, 2020,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204 x 295cm 작품 '눈-내가 온 길(2020)'을 자세히 바라보니 눈 내리는 숲속을 걷고 있는 유근택 작가를 만날 수 있었다. As I closely observed the piece "Snow - The way I Came (2020)," I could see Geuntaek Yoo himself walking through a snowy forest. 말하는 정원, 2019, 한지에 수묵채색, 148 x 270cmSpeaking Garden, 2019, Black Ink, White Powder and Tempera on Korean Paper, 148 x 270cm 마주보고 있는 두 개의 큰 작품, '말하는 정원(2019)'에서는 각각 작품 위쪽에 성인의 발끝과 아이의 발끝이 보인다. 유년 시절과 현재의 유근택 작가가 바라본 정원일까. In the two large, facing pieces titled "Speaking Garden (2019)," you can see the tips of an adult's toes and a child's toes at the top of each artwork. Maybe this shows the garden as seen by Geuntaek Yoo as a child and as an adult. 2층 2전시실 [나무의 방: 꽃을 피우는 마음으로]에서는 유근택 작가의 목판에 관한 작업관과 그 세계를 조명하는 첫 전시가 진행중이다. 1980년대 후반에 제작된 초기 작품부터 2024년 최신작까지 총 160여 점의 작품이 소개되며, 이는 목판 원판, 목판화, 목판을 파내고 나온 나무 부스러기로 만든 오브제 등을 포함한다. On the second floor in Exhibition Room 2, titled "The Room of Trees: With a Heart That Blooms," there is the first exhibition highlighting Geuntaek Yoo's woodblock art. It features over 160 pieces, from his early works in the late 1980s to his latest ones in 2024. The display includes original woodblocks, woodblock prints, and objects made from wood shavings. 작가노트를 살펴보면, 유근택은 목판 작업을 통해 자신의 내면 깊숙이 숨겨진 감정들을 끌어올린다고 설명한다. 그는 목판화를 통해 불안과 위로를 탐구하며, 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새로운 형상과 공간을 발견한다. In the artist's note, Geuntaek Yoo explains that his woodblock work helps him bring out deep emotions. Through his woodblock prints, he explores feelings of anxiety and comfort, discovering new shapes and spaces along the way. 전시를 관람하고 내려가는 계단에서는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1~2022년의 10여 개월에 걸쳐 유근택 작가가 그의 아버지께 매일 모바일로 찍어 보낸 350여 점의 작업들에 대한 텍스트가 담긴 '편지'란 제목의 책을 감상할 수 있다. 작가는 책 안에 시간대의 역사와 시간과 풍경들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 하나의 나에 대한 숙제를 한 느낌이라고 말했다. As you go down the stairs after the exhibition, you'll find a book titled "Letters." This book features texts about over 350 artworks that Geuntaek Yoo sent to his father every da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2021-2022. The artist said that the book captures the history, time, and landscapes of that period, making him feel like he completed a personal project. 계단을 조금 더 내려가면 작가의 목판에 그려진 그림들을 직접 엽서에 찍어볼 수 있는 공간이 있다. 이 공간을 즐기며 관람을 마무리하기를 바란다. As you go further down the stairs, there's a spot where you can stamp the artist's woodblock images onto postcards. Enjoy this activity as you wrap up your visit. 《오직 한 사람》유근택성북구립미술관 본관 2, 3F 전시실(주소: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134)화 - 일 10시 - 18시매주 월요일 휴관관람료: 무료 One, but allGeuntaek YooSeongbuk Museum of Art (Address: 134, Seongbuk-ro, Seo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Tue - Sun 10 am - 6 pmClosed on MondaysFree Entrance 본 포스팅은 성북구립미술관의 협조를 받아 취재 및 촬영되었습니다.This post was written with cooperation of Seongbuk Museum of Art. 참고문헌 / 성북구립미술관, 유근택 「《오직 한 사람》 전시 서문 및 보도자료」글, 사진 / @chulhoon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