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young YoonMMCA Korea Artist Prize 2024 국립현대미술관(@mmcakorea) 서울관 1전시실 입구에 놓인 윤지영(@toocommonname_)의 작품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몰라 내장을 꺼내 그물을 짓던 때가 있었다>는 내장을 꼬아 만든 것처럼 보인다. 이는 대화를 기대하듯 내밀한 영역을 먼저 꺼내 보이며, 비린내가 나도 이상하지 않을 것 같은 희끄무레한 조각의 모습이 아이러니를 자아낸다. 이는 단어 하나로 규정되지 않는 것, 이해 너머의 세계를 담아내려는 작가의 태도를 드러낸다. At the entrance of Gallery 1 in MMCA Seoul (@mmcakorea), Jiyoung Yoon(@toocommonname_)'s work, There Was a Time When I Didn’t Know How to Live, So I Took Out My Guts and Wove a Net, appears as if it were crafted from twisted intestines. Offering up an intimate part of itself, as if inviting a conversation, the pale, fishy-scented sculpture carries a sense of irony. It reflects the artist's approach to embracing the undefined, reaching for a world beyond comprehension. Jiyoung Yoon, Me, No, 2021, Star-shaped prism in sphere wrapping, steel, acrylic paint absorbs up to 99.4% light, silicone, silicone tint, transparent nylon thread, The volume of each of the six bodies is 65,416㎤ give or take a few. <미, 노>는 부피는 같지만 겉넓이가 다른 여섯 개의 도형이 서로의 싸개를 바꾸어 입으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조각은 몸을 은유하고, 싸개는 움직이는 피부가 된다. 몸에 맞지 않아 우스꽝스럽거나 찢어지는 도형과 싸개의 갈등은 욕망 또는 규범과 현실 사이의 불일치를 암시한다. Me, No presents six shapes of equal volume but differing surface areas attempting to swap their coverings. The sculptures metaphorically represent bodies, while the coverings become movable skins. The mismatch between the shapes and their coverings—resulting in absurdity or tearing—reflects conflicts, suggesting the discord between desires or norms and reality. 윤지영의 조각들은 희생과 믿음, 표면과 내부라는 물리적 구조를 탐구하며, 개인의 태도와 정체성을 구형이나 가시 형태로 구조화해 마음의 역동성을 드러낸다. 그녀는 신화 속 이야기를 차용해 여성의 성적 대상화 같은 재현 방식을 전복하거나, 부당한 피해자로서의 이미지를 거부하며 가해자 응징과 연대의 메시지를 새겨 넣는다. Jiyoung Yoon's sculptures delve into the physical structures of sacrifice, faith, surface, and interior, shaping personal attitudes and identities into spheres or visible forms that express the dynamics of the mind. Drawing inspiration from mythological narratives, she subverts representational methods such as the sexual objectification of women and rejects the image of unjust victimhood. Instead, her works embed messages of solidarity and retribution against perpetrators. 이번 신작에서 사용된 밀랍과 실리콘의 물리적 속성은 작가가 천착하는 불편함을 더욱 부각한다. 작가는 채워진 곳과 비어 있는 곳을 재고하며, 불안한 예감에 온 힘을 다해 합당한지 고민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접근 방식 역시 전시의 흥미로운 요소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wax and silicone used in the new work amplify the discomfort the artist explores. By reconsidering the filled and empty spaces, the artist reveals a process of grappling with unsettling premonitions, striving to justify them with full intensity. This approach is another compelling aspect of the exhibition. 작가의 조각은 신체이며, 그녀 자신이 곧 신체다. <달을 보듯이 보기>에서처럼 비명을 삼키고 더 나은 상태를 위한 확장된 성찰을 요구한다. 조각이라는 매체를 통해 사회 심리학적 통찰을 능숙하게 매개하는 그녀의 시각 언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된다. 작가는 조각 내부를 결코 알 수 없으며 언제나 보이지 않는 면이 존재한다고 말한다. 이러한 ‘보이지 않는 면’이 압박하는 구조적 위협 속에서 윤지영이 심화할 실존적 사유와 언어의 세계가 더욱 기대된다. The artist's sculpture embodies the body—it is her very self as a body. In works like Like the Moon, As We See It, it swallows screams and calls for expanded reflection toward a better state. Her visual language, adeptly mediating socio-psychological insights through sculpture, transforms in various ways. The artist asserts that the inside of a sculpture can never be fully known; there is always an unseen side. Anticipation grows for Yoon Ji-young's deepened existential contemplation and linguistic exploration within the pressing structural threats of this "unseen side." 《올해의 작가상 2024》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주소: 서울 종로구 삼청로 30)권하윤, 윤지영(1층 1전시실), 양정욱, 제인 진 카이젠(지하 1층 2전시실)2024년 10월 25일 - 2025년 3월 23일 Korea Artist Prize 2024MMCA Seoul(Address: 30 Samcheong-ro, Jongno-gu, Seoul)Hayoun Kwon, Yoon Jiyoung Yoon (Gallery 1, 1F), Yang Jung-uk, Jane Jin Kaisen (Gallery 2, B1F)October 25, 2024 – March 23, 2025 This post was written with cooperation of MMCA(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본 포스팅은 국립현대미술관의 협조를 받아 취재 및 촬영되었습니다. 글 / @kndahee사진 / @chulhoonj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