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 mer [ mεːʀ ]1. Sea 바다 2. tides 조수 3. Seawater 바닷물 I don't wish to ascribe a profound meaning.I simply thought of Denim and Indigo, the commonalities between the two, and the word "Blue" came to mind. In that regard, I found a significant intersection with the sea.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지 않다.그냥 Denim 그리고 Indigo 그 둘의 공통점을 생각하다가 Blue 가 떠올랐고,그 점에 바다(sea)라는 큰 교집합을 찾았다. The Beginning of the Brand (브랜드의 시작) This brand, Theriverwinterr, initially shared a story with me. We casually exchanged ideas, and the conversations were very simple. I thought, "That could be fun," without giving it much thought. I had always wanted to seriously explore creating a brand with denim as its base, and Theriverwinterr's words gave me a clearer direction for the ideas I had been mulling over. Since childhood, I had loved denim. It wasn't just a matter of liking it; I tore it apart, wore it, from raw denim to well-worn, used jeans. I've worn hundreds of denim brands, from trendy ones to denim replicas (brands that revive past Levi's designs), and designer brands that are well-known among denim enthusiasts.이 브랜드는 Theriverwinterr 먼저 나에게 이야기를 꺼냈다.그냥 재미 삼아 서로 이야기하였고, 매우 심플한 이야기들이었으며, 나는 그냥 " 재밌겠다. " 정도로 생각했었던 것 같다.이전부터 데님이 베이스가 된 브랜드를 진지하게 해보고 싶다는 생각은 있었고, 마침 Theriverwinterr 말에 이전에 생각해두었던 내용을 좀 더 구체적인 방향으로 머리에 그려나가기 시작하였다.어려서부터 워낙 데님을 좋아했었고, 단순히 좋아한다기 보다 뜯어보고 착용해 보고 생지부터 유즈드 데님이 되기까지 오랜 착용도 즐겨보고 브랜드들 또한유행하는 데님부터 레플리카(과거 리바이스를 복각한 브랜드들) 데님, 데님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말이 필요 없는 오사카 파이브 외 디자이너 브랜드 정말 수 백 개를 입어보았던 것 같다. Levi's vintage 80's - 90's denim I collected various archives using Levi's denim from the 70s to 90s. The catalyst for a more specific direction was when I coincidentally saw someone wearing denim in Module and Aieul's storage rooms. Inadvertently, the phrase "Editor fit" slipped out.It was said in jest. It was a playful comment like, "If you're an editor, you should wear denim like this; if you don't wear it this way, it's not an Editor fit."70-90년대의 리바이스 데님들을 가지고 다양한 아카이브를 만들어갔다.좀 더 정확해진 계기는 우연히 Mudule과 Aieul 사물실에서 그날 우연히도 데님을 입고 있는 것을 보고무심코 뱉었던 Editor fit 이었다.장난으로 한 말이었다. "에디터라면 데님을 이렇게 입어야지 이렇게 입으면 Editor fit이 아냐" 라는 정말 장난삼아 던진 말 한마디였다.In retrospect, denim worn by architects, journalists, fashion stylists and editors, directors – whether from overseas, those I admired, or those I'd seen in the past – always exuded an understated elegance. Their denim felt like a second skin, well-aged and seasoned. Many of them were seen enjoying Levi's denim from the 80s and 90s. 생각해 보면 내가 해외에서 봤던 그리고 과거에 즐겨 봤던 건축가, 기자, 패션 관련 스타일리스트& 에디터, 디렉터들의 데님은 항상 절재돼 있으며, 특별할 거 없이 오래 입어서 착용하는 이의 피부와 같았고 그만큼 잘 숙성이 된 느낌이었다. 그리고 그들은 항상 80-90년대의 리바이스 데님을 즐기는 걸 보았다.Jane Birkin on the left, Charlotte Gainsbourg in the middle, Kate Berry on the right왼쪽 제인 버킨, 가운데 샤를로트 갱스부르 , 오른쪽 케이트 베리1st Sample (첫번째 샘플) Preparations for the first sample began. We held meetings, and the foundation was to create denim that had the essence of the denim worn by New Yorkers and Parisians in the 80s and 90s, adapted to a modern context. The goal was to craft denim that could be worn daily, with ease.Rather than creating a replica brand,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make well-fitting, stylish denim based on my understanding of denim. This way, it could stand the test of time, unlike garments tucked away in the closet due to fleeting trends. This denim should exude a basic charm even after wearing it for 1-2 years, irrespective of whether it's worn today, tomorrow, or a couple of years later due to fashion fads. 첫 샘플을 준비하기 시작했다.미팅을 가졌고 베이스는 80 - 90 년대 뉴욕커, 파리지앵들이 입던 그런 데님을 현대적인 시점에서 만들어보고 그것을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쳤다.이 데님 하나로 데일리 하면서 어렵지 않게 즐길 수 있는 데님을 만드는 것에 목표를 두었다. 복각 브랜드를 만드는 것이 아닌 무엇보다 이것저것 따지지 않고 내가 데님을 잘 아는 한에서 잘 맞고 멋진 데님을 만드는 것이었다.그래야 "손이 많이 간다." 유행 때문에 사서 옷장 구석에 박혀있는 옷보다 어제 입어도 오늘 입어도 1 - 2 년 뒤에 입어도 베이직한 멋을 느낄 수 있는 그런 데님을 만들고 싶었다. 1st mer We selected a total of 4-5 denim fabrics and used the same washing techniqu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our initial sample, mer's official Sample 1. We chose 4-5 fabrics similar to the cone denim used in Levi's denim from the 80s and 90s. We aimed for a fabric that was not too rough but soft, not too thin or thick, just the right weight to create denim.총 4-5가지의 데님 원단으로 동일한 워싱으로 사용하여 우리가 생각하는 초기 샘플의 베이스를 잡는 작업을 진행 후에 만들어진 mer의 정식 Sample 1 이었다.80-90년대 리바이스 데님에서 사용하였던 콘 데님과 유사한 4-5가지 원단을 골라서 머리를 싸매고 준비하였다. 너무 거칠지 않으면서 부드럽고, 너무 얇지도 두껍지도 않은 적당한 oz의 원단으로 데님을 만들었다. Satisfaction is hard to attain from the very first iteration. We put effort into encapsulating simplicity rather than exaggeration.Our direction and image didn't align with hype; we were tired of being swayed by exaggerated trends. We believed in doing what we wanted and moving at our own pace in the direction we desired. 첫 번째부터 만족할 수 없는 게 많다.과장된 제품이 아닌 담백함을 담는데 노력하였다. 우리가 생각하는 방향성과 이미지는 hype와는 어울리지 않았다.과장된 트렌드에 끌려다니는 것에 이제는 지쳤기 때문이다.너희는 너희가 하고 싶은 걸 하고 만들어라 우리는 우리가 하고 싶은 방향으로 천천히 움직일 생각이다.We wanted to express the coolness of the 80s - 90s and created an image map that spanned movies, actors, editors, models, directors, politicians, and journalists alike. Our thoughts crystallized into a clear direction – this is what mer is all about. Indeed, we were heavily focused on the styles of New York, Paris, and London from the 80s and 90s. We hoped that mer could be enjoyed as effortlessly and stylishly as these people did. theriverwinterr fundamentally imparted the mood of Parisians from the 80s - 90s and Charlotte Gainsbourg's style onto the American mood of John F. Kennedy Jr. and Carolyn Jeanne Bessette-Kennedy. The commonality here was a laid-back coolness, a sense of freedom.In the history of denim, the 1900s represented workwear, while the 80s - 90s embodied youth, rebellion, and freedom. mer은 80 - 90년대의 쿨함을 표현하고 싶었고 영화, 배우, 에디터, 모델, 디렉터, 정치인, 기자 구분 없이 이미지맵을 만들었다.우리가 생각하는 것은 이것이 다라는 것이 분명해졌다.확실히 우리는 80-90년대 뉴욕, 파리, 런던의 스타일에 무척이나 집중돼 있었고 mer은 이런 사람들처럼 쿨하고 편하게 즐기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theriverwinterr은 기본적으로 Parisienne들의 80-90년대 스타일과 Charlotte gainsbourg의 스타일에서 나는 American 무드의 John f kennedy jr & Carolyn Jeanne Bessette-Kennedy무드를 입히고 싶었다.여기서 공통점은 쿨하면서, 자유분방함이다.데님의 역사에서도 1900년대 단순히 워크웨어에서 80-90년대는 젊음, 반항, 그리고 자유이다. 3rd Sample & 4th Sample Currently, after finalizing the 3rd sample, we've moved on to the 4th sample, resulting in two distinct types of products.현재는 3차 샘플의 마무리 후 4차 샘플을 해서 정식적인 두 가지 타입의 제품이 완성되었다. mer in Paris Our focus wasn't on creating replica denim that emphasized historical accuracy. We aimed to create denim centered on aesthetics, and to make it easier to convey, we even coined the playful alias "Editor fit." You can forget the specifics of the fabric, stitching, or the details mentioned earlier. We want this clothing to be pulled out of the closet easily and enjoyed in a light-hearted and fun manner. It's the most primitive yet enjoyable way to experience denim. In warm weather, you can cut the length, wear it longer, or even trim and fold it using scissors. Wearing it oversized is also fine. mer's approach is all about freedom. 우리는 복각에 중점이 된 레플리카 데님을 만든 것이 아니다.우리가 생각하는 美에 중점이 된 데님을 만들었고, 그것을 쉽게 이야기하기 위해서 Editor fit이라는 재미있는 별칭까지 만들어 주었다.이 옷은 뭐가 어떻고 저렇고, 원단과 스티치가 어떻고 위에 내용은 잊어도 된다. 옷장에서 쉽게 꺼내서 재미있고 가볍게 즐기기를 원한다. 그것이 데님을 즐기는 가장 원초적이면서 가장 재미있는 방식이다. 더울 때는 길이를 Cut 해서 입어도 되고, 기장이 길면 긴 데로 혹은 가위로 잘라 입거나 접어 입어도 좋다.사이즈를 크게 입어도 좋다. mer의 방식은 자유다. Clair(왼쪽) Foncé(오른쪽) 글/ @whitefang_godfather번역/ @appendix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