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could have prepared us – Everything could have prepared us

Nothing could have prepared us - Everything could have prepared usWolfgang Tillmans Wolfgang Tillmans(@wolfgang_tillmans)에게 도서관은 사적이면서도 공적인 장소였다고, 큐레이터는 말한다. 수평으로 놓인 책상의 구조, 수직으로 쌓인 자료, 창문 너머의 풍경까지. 그는 공간의 본래 구조를 가리거나 덮지 않고 오히려 전시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벽을 세우는 대신 퐁피두 센터(@centrepompidou) 내 공공도서관 책장 그대로를 사진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는가 하면, 시간의 흔적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두 겹의 오래된 카펫 역시 그대로 두었다. 자연스럽게 전시에는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이고 그 속에 천천히 들어갔다 나오기를 반복하며 살아온 사람의 여유가 묻어났다. “The library was both a private and public space to Wolfgang Tillmans(@wolfgang_tillmans),” the curator explains. Horizontal desks, vertically stacked archives, and the view beyond the windows—Tillmans did not conceal the original structure of the space, but used it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exhibition. Instead of constructing new walls, he displayed photographs using the Pompidou(@centrepompidou) Public Information Library's existing shelves. He left untouched the two layers of carpet that had silently accumulated the passage of time. The show reflects the attitude of someone who has spent a lifetime entering and exiting the world as it is. 오랜 시간에 걸쳐 준비된 이번 전시는 퐁피두 센터 공공정보도서관(Bpi)이 대규모 리노베이션을 앞둔 시점에서의 마지막 전시다. 치밀하게 구성했지만 그 이상의 무언가, 의도를 벗어나 자연스럽게 작동하는 '우연의 질서'가 그곳에 있다. 어쩌면 틸만스와 퐁피두 도서관은 서로를 조용히 기다려왔을지도 모르겠다. This exhibition, prepared over many years, is the final one held in the Centre Pompidou’s Public Information Library (Bpi) before its large-scale renovation. As such, Tillmans’ intervention feels like something more than a plan. Though meticulously constructed, there is an order of coincidence at play—something beyond intent. It is as if Tillmans and the library had been quietly waiting for each other all along. 필자는 이틀 동안 그곳에 있었다. 틸만스가 전시 준비에 들인 3년이라는 시간을 생각하면, 마주한 순간은 아주 찰나의 단면에 불과했을지도 모른다. 다만 기록자가 아닌 작가로서, 그의 작업 위에 한 장면을 더 얹고 싶었다. 그의 손길이 멈춘 후에야 비로소 생겨날 수 있는 순간들, 그가 다 볼 수 없는 장면들을 천천히 걸으며 포착했다. I spent two days in the space. Considering the three years Tillmans dedicated to preparing this show, what I witnessed was merely a fleeting moment. But as an artist—not a documentarian—I wanted to layer one more scene onto his work. I walked slowly, capturing moments that could only arise after his touch had receded, moments he himself could not fully witness. 관람객의 옷과 작품의 색이 겹쳐질 때, 위에서 내려다본 도록의 구조가 그의 paper drop 시리즈를 떠올리게 할 때, 비어 있는 책장 틈 사이로 작업이 잠시 프레임처럼 보일 때 – 이 모든 우연은 전시 구조 덕분에 가능했다. 책장 속 구부러진 종이가 작업처럼 보이는 것을 틸만스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그것은 중요하지 않았다. 중요한 것은 전시라는 경험의 구조가 만들어낸 하나의 현상과 그 현상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것이다. When the colors of a visitor’s clothing aligned with those of a work, when the structure of an exhibition guide seen from above echoed his paper drop series, or when an artwork appeared briefly through the gaps in an empty bookshelf—these coincidences became possible because of how the exhibition was structured. Even if Tillmans did not intend for a curled sheet of paper to appear as part of the installation, that did not matter. What mattered was how the experience of the exhibition created a phenomenon—and how naturally that phenomenon could be received. 그 중에서도 Between Bridges(@betweenbridgesfoundation)를 통해 우리는 틸만스의 확고한 가치관을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의 회고전 한가운데, 그는 자신이 설립한 비영리 재단 Between Bridges를 위한 구역을 마련하고, 이 재단과 함께하는 동시대 작가들의 작업을 함께 전시했다. 예술가와 사회를 연결하고 다양한 목소리를 지원하는 이 재단을 전시에 포함시키는 결정은 그 자체로 틸만스의 가치관을 보여준다. Among all of this, Between Bridges(@betweenbridgesfoundation) most clearly reveals his values. In the heart of his own retrospective, he reserved a section for Between Bridges—the nonprofit foundation he established—and presented works by contemporary artists associated with it. His decision to include this space, dedicated to supporting artists and amplifying diverse voices, speaks volumes about his ethics. Between Bridges는 카펫이 깔린 바닥의 직선과 천장을 가로지르는 파이프 구조, 거울 책상 위에 반사된 이미지가 두 개의 다리 사이를 형성하고, 그 위를 관람객들이 지나며 또 다른 풍경을 만든다. 온전히 자신의 전시 공간에 사회적 목소리를 담고, 중심이 아닌 주변으로 밀어낸 듯한 구조는 틸만스의 가치관과 겸손한 작업관을 동시에 드러낸다. 그는 거울 위에 펼쳐진 천장의 구조물 자체를 ‘하나의 조각’이라 말했다. In that zone, the straight lines of the carpet, the pipes stretching across the ceiling, and the images reflected on the mirrored desk together formed a space between two bridges. As visitors moved through, they generated a new landscape. By making room for other voices within his own exhibition, and shifting the focus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Tillmans revealed both his worldview and his humility. He once described the mirrored ceiling reflected in the desk as “a sculpture in itself.” 틸만스는 언제나 공간과 함께 존재해왔다. 세상을 냉정히 바라보되 끌어안기를 멈추지 않는 균형을 유지했다. 필자가 그를 오랫동안 존경해온 이유다. 이번 전시는 그 균형을 가장 정확히 드러낸 공간이었고, 아마 그는 지난 40년 동안 찍어온 사진들과 30권이 넘는 책을 통해 이 순간을 반복해서 그려왔을지도 모른다. Tillmans has always existed with space. He sees the world with clarity, yet never stops embracing it—that is the balance he maintains, and the reason I have long admired him. This exhibition captured that equilibrium most precisely. Perhaps, through forty years of photography and over thirty books, he had always been drawing this moment. Witnessing the show made me reflect on the photographs and writing I’ve made as an artist, and how I’ve received people and places I didn’t create myself. 그가 만들어낸 구조 위에서 필자가 찍은 사진들은 또 하나의 층위로 존재하며 지금까지 바라본 풍경 중 가장 담담한 기록으로 남을 것이다. The photographs I took within his structure now exist as an additional layer. They remain among the quietest records of any landscape I’ve observed. 본 포스팅은 Centre Pompidou의 협조를 받아 취재되었습니다.This post was written with cooperation of Centre Pompidou. 참고문헌 / 「Exhibition Press Release: Nothing could have prepared us – Everything could have prepared us, Wolfgang Tillmans, Centre Pompidou, Paris, 2025.」글, 사진 / @chulhoonjung

Permanent External Records

LOG IN 로그인
  • PER
    • news
      • müdule
        • appendix
          • mer

            Permanent External Records

            • PER
              • news
                • müdule
                  • appendix
                    • mer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Permanent External Records

                      Permanent External Records

                      • PER
                        • news
                          • müdule
                            • appendix
                              • mer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Permanent External Records

                                Terms of Use
                                Privacy Policy
                                Confirm Entrepreneur Information

                                Company Name: 머듈 | Owner: 안진웅 | Personal Info Manager: 안진웅 | Phone Number: 010-2830-9118 | Email: the@per-corp.com

                                Address: 서울시 중구 신당동 340-68 2층 |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684-42-00531 | Business License: 제 2020 - 서울마포 - 0102 호 | Hosting by sixshop

                                floating-button-img